출처 : KISTI의 과학향기 (http://scentkisti.tistory.com/212)
글 : 심우 과학칼럼니스트
장마철 주의보 발령… 식중독균이 대머리 만든다
장마철 주의보 발령… 식중독균이 대머리 만든다
태연은 힘이 없다. 이마에는 땀이 송골송골 맺혀 있다. 배는 아프지만 화장실에 가도 나올 것이 없으니 짜증만 난다. 아침부터 시작된 설사가 멎은 뒤 찾은 이곳은 병원이다.
“설사, 복통, 구토. 전형적인 식중독 증상입니다. 설사는 독소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니까 일단은 그냥 지켜보고요. 두 끼 정도 금식하면서 단 음료로 칼로리를 보충하면 금방 회복될 겁니다. 그런데 도대체 뭘 먹은 거예요?”
의사의 질문에 태연은 한참을 머뭇거리다 간신히 실토한다.
“사실 식빵에 파란색 곰팡이가 슬었는데… 예전에 선생님이 푸른곰팡이가 페니실린이라는 약품의 원료가 됐다고 하셔서 먹어도 되는 줄 알고….”
‘허걱!’
태연의 대답을 들은 의사와 아빠는 동시에 다리에 힘이 쭉 풀린다.
“태연아, 곰팡이에서 이로운 성분만 빼내야 약이 되지…. 곰팡이를 먹으면 어떻게 하니?”
“그래, 아빠 말씀이 맞다. 균 때문에 걸리는 식중독은 간단한 병이 아니야.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어.”
“정말요? 그럼 전….”
“아냐, 태연이가 걸린 식중독은 심하지 않아. 푸른곰팡이를 먹었다고 했지? 곰팡이는 실처럼 길고 가는 모양의 균사로 되어 있는 사상균이란다. 또 식중독균 중 가장 대표적인 포도상구균은 고기나 우유처럼 단백질이 많은 음식 중 상한 것을 먹으면 걸려. 이런 식중독들은 대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2~3일이면 낫는단다.”
“그럼 식중독 걱정하지 말고 아무거나 잘 먹는 게 좋을까요?”
“안 돼! 식중독 균은 수백종류가 넘고, 치명적인 것도 많으니까. 특히 여름철엔 음식을 조심해야 해. 살모넬라균에 중독될 수도 있기 때문에 달걀을 완전히 익혀먹고 금이 간 달걀은 절대 먹지 말아야 해. 또 날생선이나 덜 익은 조개류를 먹고 비브리오 식중독에 걸릴 수 있으니 더욱 조심해야 하지.”
“식중독균이 그렇게 많아요? 왜 그렇게 식중독균이 많아요? 사람을 아프게 하는 것 외에 아무런 쓸모도 없으면서….”
“꼭 그렇지도 않단다. 요즘은 죽음에 이르게 할 만큼 강력한 식중독균이 의료 분야에 사용되기도 하거든.”
“의료요? 병원에서 쓴다는 말씀이세요?”
“그래. 주름을 없애기 위해 맞는 보톡스 주사가 사실은 식중독균으로 만든 거란다. 썩은 소시지나 통조림에서 자주 발견되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톨리눔’이라는 균인데, 근육을 마비시켜 심하면 죽을 수도 있어.”
“어? 그 주사가 그렇게 위험한 주사였어요?”
“보톡스 주사를 맞는다고 식중독에 걸리는 건 아니란다. 1970년대에 보톨리눔 균을 아주 조금만 주입하면 특정 부위의 근육을 마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근육질환 환자의 치료제로 쓰이기 시작했지. 최근에는 얼굴에 주름을 만드는 표정근육을 마비시킬 수 있어 주름 제거용 시술에 쓰이게 됐고.”
“그럼 비싼 보톡스 주사가 겨우 식중독균이고 주름을 없애는 게 아니라 근육을 마비시키는 것이라고요? 식중독과 보톡스가 패밀리라니 좀 이상한데요….”
재밌는 얘기로 생기를 되찾은 태연은 의사선생님 대머리의 주름을 보자 불현듯 몇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주름… 보톡스… 식중독… 세균…. 아, 그러고 보니 대머리와 식중독도 패밀리에요! 장마철에는 세균이 식중독만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대머리도 만든다고 배웠거든요. 특히 살모넬라균이나 대장균 같은 균들은 염증을 일으켜서 대머리 만들기에 딱 좋다고 하더라고요. 장마철엔 두피에 습기가 많이 차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외출하거나 잠자리에 들 때 두피까지 완전히 말려야 대머리가 안 된다고 했어요. 의사선생님은 머리 감고 그냥 주무셨구나요?”
태연의 말에 아빠는 황급히 태연의 입을 막았고 의사는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눈가에 보톡스 주사를 맞은 듯 경미한 마비가 스쳐 지나갔다.
“하하하하하하! 그럴 수도 있겠군요. 하지만 전 유전입니다. 일단 약을 하루치 지어줄테니 내일 또 오시고… 오늘은 될 수 있으면 아무 것도 먹지 마시고… 크흠. 주사 한 대 맞을까요? 간호사!”
그의 손에는 평소보다 유달리 큰 주사기가 들려있었다.
글: 심우 과학칼럼니스트
“설사, 복통, 구토. 전형적인 식중독 증상입니다. 설사는 독소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니까 일단은 그냥 지켜보고요. 두 끼 정도 금식하면서 단 음료로 칼로리를 보충하면 금방 회복될 겁니다. 그런데 도대체 뭘 먹은 거예요?”
의사의 질문에 태연은 한참을 머뭇거리다 간신히 실토한다.
“사실 식빵에 파란색 곰팡이가 슬었는데… 예전에 선생님이 푸른곰팡이가 페니실린이라는 약품의 원료가 됐다고 하셔서 먹어도 되는 줄 알고….”
‘허걱!’
태연의 대답을 들은 의사와 아빠는 동시에 다리에 힘이 쭉 풀린다.
“태연아, 곰팡이에서 이로운 성분만 빼내야 약이 되지…. 곰팡이를 먹으면 어떻게 하니?”
“그래, 아빠 말씀이 맞다. 균 때문에 걸리는 식중독은 간단한 병이 아니야.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어.”
“정말요? 그럼 전….”
“아냐, 태연이가 걸린 식중독은 심하지 않아. 푸른곰팡이를 먹었다고 했지? 곰팡이는 실처럼 길고 가는 모양의 균사로 되어 있는 사상균이란다. 또 식중독균 중 가장 대표적인 포도상구균은 고기나 우유처럼 단백질이 많은 음식 중 상한 것을 먹으면 걸려. 이런 식중독들은 대개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2~3일이면 낫는단다.”
“그럼 식중독 걱정하지 말고 아무거나 잘 먹는 게 좋을까요?”
“안 돼! 식중독 균은 수백종류가 넘고, 치명적인 것도 많으니까. 특히 여름철엔 음식을 조심해야 해. 살모넬라균에 중독될 수도 있기 때문에 달걀을 완전히 익혀먹고 금이 간 달걀은 절대 먹지 말아야 해. 또 날생선이나 덜 익은 조개류를 먹고 비브리오 식중독에 걸릴 수 있으니 더욱 조심해야 하지.”
“식중독균이 그렇게 많아요? 왜 그렇게 식중독균이 많아요? 사람을 아프게 하는 것 외에 아무런 쓸모도 없으면서….”
<포도상구균은 식중독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세균이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
“꼭 그렇지도 않단다. 요즘은 죽음에 이르게 할 만큼 강력한 식중독균이 의료 분야에 사용되기도 하거든.”
“의료요? 병원에서 쓴다는 말씀이세요?”
“그래. 주름을 없애기 위해 맞는 보톡스 주사가 사실은 식중독균으로 만든 거란다. 썩은 소시지나 통조림에서 자주 발견되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톨리눔’이라는 균인데, 근육을 마비시켜 심하면 죽을 수도 있어.”
“어? 그 주사가 그렇게 위험한 주사였어요?”
“보톡스 주사를 맞는다고 식중독에 걸리는 건 아니란다. 1970년대에 보톨리눔 균을 아주 조금만 주입하면 특정 부위의 근육을 마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근육질환 환자의 치료제로 쓰이기 시작했지. 최근에는 얼굴에 주름을 만드는 표정근육을 마비시킬 수 있어 주름 제거용 시술에 쓰이게 됐고.”
“그럼 비싼 보톡스 주사가 겨우 식중독균이고 주름을 없애는 게 아니라 근육을 마비시키는 것이라고요? 식중독과 보톡스가 패밀리라니 좀 이상한데요….”
재밌는 얘기로 생기를 되찾은 태연은 의사선생님 대머리의 주름을 보자 불현듯 몇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주름… 보톡스… 식중독… 세균…. 아, 그러고 보니 대머리와 식중독도 패밀리에요! 장마철에는 세균이 식중독만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대머리도 만든다고 배웠거든요. 특히 살모넬라균이나 대장균 같은 균들은 염증을 일으켜서 대머리 만들기에 딱 좋다고 하더라고요. 장마철엔 두피에 습기가 많이 차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기 때문에 외출하거나 잠자리에 들 때 두피까지 완전히 말려야 대머리가 안 된다고 했어요. 의사선생님은 머리 감고 그냥 주무셨구나요?”
태연의 말에 아빠는 황급히 태연의 입을 막았고 의사는 어색한 미소를 지었다. 눈가에 보톡스 주사를 맞은 듯 경미한 마비가 스쳐 지나갔다.
“하하하하하하! 그럴 수도 있겠군요. 하지만 전 유전입니다. 일단 약을 하루치 지어줄테니 내일 또 오시고… 오늘은 될 수 있으면 아무 것도 먹지 마시고… 크흠. 주사 한 대 맞을까요? 간호사!”
그의 손에는 평소보다 유달리 큰 주사기가 들려있었다.
글: 심우 과학칼럼니스트
옥토끼우주센터 홈페이지 : http://oktokki.com
옥토끼우주센터 블로그 : http://oktokki.tistory.com
싸이월드 클럽 : http://club.cyworld.com/oktokki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